2025년 노령연금 수급자격이 달라집니다. 소득·재산 기준 완화로 더 많은 사람이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생깁니다. 변경 내용을 확인하시고 올해 탈락했다면 재신청해보세요
2025년에는 소득 기준이 상향되고 공제 항목이 추가되어, 더 많은 어르신들이 노령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작년에 탈락했다면, 올해 꼭 다시 신청해 보세요
2025년 노령연금, 이렇게 달라집니다
노령연금을 받기 위해서는 소득 인정액이 일정 기준 이하여야 합니다. 2025년부터 기준이 올라가면서 더 많은 분들이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1) 소득 인정 기준 상향
2025년부터 소득 기준이 단독가구 228만 원, 부부가구 364.8만 원으로 인상되어, 기존보다 더 많은 분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재산 기준 (거주 지역별 적용됨)
재산이 많으면 수급이 어려울 수도 있지만, 공제 항목을 활용하면 가능성이 있습니다.
- 주택, 토지, 전세금, 자동차, 임차보증금, 금융재산 등이 포함
- 부동산은 공시가격 기준으로 평가되며, 실거래가와 다를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 재산이 많아도 공제 항목을 활용하면 수급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3. 공제 항목 확대 (실질 소득 기준 완화 효과)
2025년부터 추가되는 공제 항목을 활용하면, 기존보다 더 많은 어르신들이 수급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근로소득 공제 확대: 110만 원 → 112만 원
2025년부터 새롭게 추가된 공제 항목
의료비 공제
-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비급여 진료비 일부를 공제해 줌
- 예: 도수치료, 임플란트, 백내장 수술 등 본인 부담 비급여 치료비 일부가 소득에서 차감됨
교육비 공제
- 손자녀의 교육비 일부를 공제 가능 조부모가 손자녀의 학비를 지원하는 경우,
- 일정 금액을 공제받아 소득 인정액이 줄어듦
공제를 적용하면 소득 인정액이 낮아져 연금을 받을 가능성이 높아지니 2024년에 탈락했던 분들도, 2025년에는 다시 신청해 보세요.
노령연금,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2025년부터 지급액이 소폭 인상되었습니다. 얼마를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 단독가구 기준, 매월 최대 342,510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부부가 함께 받을 경우, 최대 548,000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2025년 기준, 내가 받을 수 있을까? (셀프 체크리스트)
노령연금을 받을 수 있는지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를 제공해 드립니다.
1) 연령 기준
- ☑ 만 65세 이상인가요?
- ☑ 출생연도를 기준으로 2025년까지 65세가 되나요?
- 만 65세 이상이라면 기본 자격을 갖췄습니다.
2) 소득 기준 (2025년 기준 적용)
- ☑ 단독가구: 월 소득이 228만 원 이하인가요?
- ☑ 부부가구: 월 소득이 364.8만 원 이하인가요?
- 기준 이하라면 수급 가능성이 높습니다.
3) 재산 기준
- ☑ 대도시 거주: 단독가구 기준 1.35억 원 이하인가요?
- ☑ 중소도시 거주: 단독가구 기준 8,500만 원 이하인가요?
- ☑ 농어촌 거주: 단독가구 기준 7,250만 원 이하인가요?
- 해당 기준을 충족하면 수급 대상일 가능성이 큽니다.
- 의료비·교육비 공제를 적용하면 소득이 줄어들어 기준을 충족할 수도 있습니다.
- 배우자가 국민연금을 받고 있어도,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받을 수 있습니다.
노령연금은 신청해야만 받을 수 있습니다. 2025년부터 신청 절차가 간소화되어 온라인으로도 쉽게 신청할 수 있으니 꼭 신청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