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노령연금 수급자격, 소득·재산 기준 모르면 연금 제한

by 쌩쌩정보12 2025. 3. 12.

노령연금을 받기 위해서는 소득 기준뿐만 아니라 재산 기준도 반드시 충족해야 합니다. 재산이 많으면 소득으로 환산되어 연금 수급이 제한될 수 있는데요. 오늘은 노령연금에서 적용하는 재산 기준과 소득환산율을 쉽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 노령연금 재산 기준이란?

노령연금은 소득인정액이라는 걸 기준으로 지급 여부를 따져요. 이 소득인정액에는 실제로 버는 돈 월급, 연금 등뿐만 아니라, 내가 가진 재산도 포함됩니다.

 

돈은 안 벌어도 집이나 예금이 많으면 연금을 못 받을 수도 있기 때문에 내가 가진 재산이 ‘소득’으로 계산되는 방법을 아는 게 중요합니다.

 

2. 내 재산이 소득으로 계산되는 방법 (소득환산율)

정부에서는 집이나 예금 같은 재산이 많으면, 돈을 벌고 있는 것과 같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실제로 일을 해서 돈을 벌지 않아도, 내가 가진 재산소득처럼 계산해서 연금 받을 수 있는지 따집니다.

 

아래 표를 보면, 내가 가진 재산이 어떻게 소득으로 계산되는지 알 수 있어요. 하지만 숫자만 보면 어려울 수 있으니, 예제도 함께 볼게요.

노령연금 소득환산율표(2025)
노령연금 소득환산율표(2025)

 

내가 집이나 땅을 가지고 있으면, 정부에서는 이건 언제든지 팔아서 돈을 만들 수 있는 재산이다라고 생각해요. 그래서 실제로 집을 팔아서 돈을 번 게 아니어도, 마치 매달 일정 금액을 버는 것처럼 계산해서 소득으로 인정합니다.

 

예를 들어 3억 원짜리 집이 있다면, 정부에서는 1년에 5%인 1,500만 원을 벌 수 있는 재산이라고 보고, 이걸 12개월로 나누어 매달 125만 원을 버는 것처럼 계산해요.

 

또한 1억 원짜리 예금이 있다면 1년에 4%인 400만 원을 벌 수 있는 재산이라고 보고, 이걸 12개월로 나누어 매달 33만 원을 버는 것처럼 계산합니다. 고급 외제차나 비싼 회원권은 언제든지 팔아서 현금화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에, 바로 소득으로 인정해 버리니 참고하세요.

 

3. 소득인정액 계산법

노령연금 소득인정액 기준표(2025)
노령연금 소득인정액 기준표(2025)

 

월소득 + 재산기준 = 소득인정액이 나옵니다. 위 표의 금액 이하일 경우 노령연금을 수령하실 수 있습니다.

 

💡 월 소득은 근로소득과 국민연금, 가게 수입, 은행 이자 등 기타 소득을 포함하니 참고하세요.

 

노령연금을 받을 수 있는지 헷갈린다면, 정부에서 제공하는 모의 계산 서비스를 이용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어요.

대략적인 수급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만, 모의 계산 결과는 참고용이므로 정확한 수급 여부는 가까운 주민센터나 국민연금공단에 문의해야 합니다.